본문 바로가기
블로그/정보공유

LH 매입임대 조건 & 신청 방법 (2025 청년·신혼부부 편)

by micalcomanie 2025. 7. 11.
반응형

 

월세 부담 너무 크지 않으세요?
2025년 현재도 **LH(한국토지주택공사)**에서 운영하는
청년·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시세 30~50% 수준의 임대료
안정적인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실속형 주거복지 제도입니다.


✅ LH 매입임대란?

LH가 민간 주택을 매입한 뒤,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 임대해주는 제도


🎯 유형별 조건 요약

 

대상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
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100% 이하 도시근로자 월평균 120% 이하
자산 기준 자동차 3,557만 원 이하
총자산 3.2억 원 이하
동일
주택 조건 원룸·다가구 등 소형 1~2인 가구용 / 일부는 3인 가능
임대료 시세 30~50% 수준 동일 + 보증금 분할 납부 가능
거주 기간 최대 6년 (재계약 포함 시) 최대 10년 가능 (출산·자녀수에 따라 연장)
 

💰 실제 임대료 예시 (2025년 수도권 기준)

  • 청년 매입임대:
    • 보증금 1,000만 원 / 월세 12~20만 원 수준
  • 신혼부부 매입임대:
    • 보증금 2,000~3,000만 원 / 월세 20~35만 원 수준

보증금 일부는 무이자 분납 가능! (신혼부부 유형)


📝 신청 방법 (2025년 기준)

  1. LH 청약센터 접속청약센터 바로가기
  2. 메인화면에서 매입임대 공고 선택
  3. 거주 지역 선택 → 신청 가능한 지역 공고 확인
  4. 신청서 작성 → 자격 확인 → 서류제출
  5. 대상자 선정 → 계약 체결 → 입주

신청 시기: 지역별로 연중 수시 진행
(일반적으로 1,3 - 7,9월 집중)


📄 제출서류 

  • 주민등록등본 / 가족관계증명서
  • 소득확인서류 (원천징수영수증, 급여명세서 등)
  • 무주택 확인서 (주택소유사실 없음 증명)
  • 결혼예정자일 경우: 예식장 계약서, 혼인신고 예정확인서 등

💡 신청 꿀팁

팁내용
자산 기준 꼼꼼히 확인 청년은 총자산 3.2억 / 차량가 3,557만 원 이하 필수
자주 들어가서 공고 체크 청약 경쟁 낮은 지역 먼저 공략 가능성 ↑
신혼부부는 자녀수 많을수록 거주 기간 ↑  
예비 신혼부부도 신청 가능 혼인 예정 증빙만 있으면 가능!
 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1인 가구도 지원할 수 있나요?
A. 네. 청년 유형은 단독세대주 조건으로 1인 가구 가능합니다.

Q. 현재 전세살이 중인데 신청할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단, 무주택자여야 하며, 계약 이전 퇴거 증빙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Q. LH 매입임대랑 행복주택이랑 뭐가 달라요?
A. 행복주택은 건설형(신축) / 매입임대는 기존 민간주택 리모델링 후 임대
임대료는 매입임대 쪽이 더 저렴한 경우 많음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