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자바스크립트 함수에서 return 사용하기

공부/WEB

by micalcomanie 2025. 2. 8. 23:49

본문

728x90
반응형
SMALL

 

 

안녕하세요!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함수에서 return 키워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.
특히, 계산기 객체를 활용하여 return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.


1. return이란?

return 키워드는 함수가 실행된 후 결과 값을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. return을 사용하면 함수 외부에서 그 값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예제 코드

const calculator = {
    plus: function (a, b) {
        return a + b;
    },  
    minus: function (a, b) {
        return a - b;
    },
    times: function (a, b) {
        return a * b;
    },
    divide: function (a, b) {
        return a / b;
    },
    power: function (a, b) {
        return a ** b;
    }
};

이렇게 정의된 calculator 객체에는 여러 개의 함수가 있으며, 각각 return을 사용하여 연산 결과를 반환합니다.


2. return을 활용한 계산 과정

함수 실행 및 반환값 저장

const plusResult = calculator.plus(2, 3);
const minusResult = calculator.minus(plusResult, 3);
const timeResult = calculator.times(10, minusResult);
const divideResult = calculator.divide(timeResult, plusResult);
const powerResult = calculator.power(divideResult, minusResult);

위 코드를 해석해 보면:

  1. calculator.plus(2, 3)2 + 3 = 5를 반환하여 plusResult에 저장됩니다.
  2. calculator.minus(5, 3)5 - 3 = 2를 반환하여 minusResult에 저장됩니다.
  3. calculator.times(10, 2)10 * 2 = 20을 반환하여 timeResult에 저장됩니다.
  4. calculator.divide(20, 5)20 / 5 = 4를 반환하여 divideResult에 저장됩니다.
  5. calculator.power(4, 2)4 ** 2 = 16을 반환하여 powerResult에 저장됩니다.

최종 결과 출력

console.log(plusResult); // 5
console.log(minusResult); // 2
console.log(timeResult); // 20
console.log(divideResult); // 4
console.log(powerResult); // 16

각 함수는 return을 이용해 값을 반환하고, 그 결과를 다른 변수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.


3. return이 없는 경우의 차이점

만약 return이 없다면, 함수의 결과를 저장할 수 없습니다.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함수를 수정해 보면:

const calculator = {
    plus: function (a, b) {
        console.log(a + b); // 출력만 하고 return 없음
    }
};

const result = calculator.plus(2, 3);
console.log(result); // undefined

console.log(a + b);는 화면에 5를 출력하지만, return이 없기 때문에 result에는 아무 값도 저장되지 않고 undefined가 됩니다.


4. return을 잘 활용하는 팁

  • return을 사용하면 함수의 결과를 다른 함수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return이 없는 함수는 단순한 출력용으로만 사용됩니다.
  • return은 함수가 실행되는 즉시 값을 반환하고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

예시:

function testReturn() {
    return "Hello";
    console.log("이 코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.");
}
console.log(testReturn()); // "Hello"만 출력됨

오늘 배운 return의 개념을 정리해보겠습니다:

  • return은 함수 실행 결과를 반환하는 키워드이다.
  • return이 없으면 함수의 결과를 저장하거나 활용할 수 없다.
  • return을 활용하면 여러 개의 연산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.
  • return 이후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는다.

함수를 만들 때 반드시 return이 필요한지 고민하면서 코딩해보세요! 😊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

관련글 더보기